원칙의 이해
세상살이도 그렇고 , 챠트도 그렇고 변화가 무쌍합니다.
세상살이도 변화가 무쌍하지만 나의 삶의 기준이 있고
원칙이 있다면 아마도 안정된 삶을 살아갈수 있을것입니다.
챠트도 내가 수익을 낼려면 방향과 타이밍을 동시에 맞추어야
하는데 확률은 25%(수학적으로 계산하면) 가 될것입니다.
적당한 표현이 될지는 몰라도 , 수익을 내는 원칙은 변화무쌍한 파리 를
잡는것과 비슷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잡을려고 하는 대상이 파리 라는것과 파리는
어떻게 방안을 날아다니는지 / 또 그놈을 잡을려면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우리가 변화무쌍한 파리를 어떻게 따라다니면서 잡겠습니까?
대신 잡는 방법은 님들이 잘 알고 계실것입니다.
원칙은 변화하는 환경에 변화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제가 원칙을 세우는 과정들 입니다.
(1) 집중하는 종목을 설정하라
나의 환경 과 여건에 맞는 종목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2)그 종목의 움직임을 이해하라
비슷한것 같아도 파리 와 모기는 움직임이 다릅니다.
선물 과 옵션의 움직임이 다르고, 해외선물의 움직임이 다릅니다.
종목마다 그 움직임의 특수성이 있기 마련인데 , 그 고유한특수성을
가지고 원칙이라는것을 만들어 냅니다.
그러므로 챠트가 움직이는 특수성안에 내재되어 있는 보편성을
찾는것이 원칙을 세우는데 첫걸음입니다.
하여 어떤 종목이 특수성을 이해하기 힘들고, 또한 움직임에 보편성을
찾기가 힘들다면 그 종목은 거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면 현물 중에서 테마주 나 잡주에 해당되는데 , 큰 범주안에는
국내선물 과 옵션도 들어간다고 봅니다.
유념하실것은 거래량이 작은 종목일수록,특수성과 보편성이 없습니다
(3)보조지표를 설정하라
보조지표를 믿어라는 뜻은 아니고, 보조지표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부분을 보여주는면이 있습니다.
세상살이도 그렇지만 챠트도 끊임없이 확장 과 수렴을 반복합니다.
쉽게 추세가 나왔다가 횡보로 갔다가 다시 추세 나왔다가 횡보로 갔다가
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보조지표는 추세지표,모멤턴지표,가격지표 등을 같이
챠트의 어느 특정한 부분만을 집중해서 보여줍니다.
추세에 강한 지표는 추세지표 라 하고, 모멤턴에 강한면을 가진놈은 모멤턴
지표라 하지만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어떤 종목의 특수성을 잘 설명해주는
지표가 따로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기 종목을 설정하시면 그 종목의 특수성을 잘 이해하는 보조지표를
주 보조지표로 삼고, 나머지 한놈쯤은 주 보조지표가 보지못하는 부분을
보게 만들어야 합니다. 종목마다 세팅하는 보조지표가 다르다는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4) 설정한 종목의 본봉의 움직임 과 설정한 보조지표의 움직임에 공통점을
찾아라.
공통점을 찾다보면 물론 공통점도 나오지만, 종목의 특수성상 변수들이
나옵니다. 원칙에서도 기본 이 있고 예외 가 있습니다.
공통점은 기본이 되는것이고,변수는 예외가 되는데 기본 +예외=원칙
되는것입니다.
기본이 되는 사항을 문장으로 만들고,예외가 되는 사항을 문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5) 진입과 청산 을 기준으로 5개의 문장의 형식으로 원칙을 만들어라.
원칙이 되는 문장은 5개를 넘어가면 좋지 않습니다.
많은 문장은 오히려 행동강령 이라고도 할 수가 있는데 ,그게
많으면 행동에 일관성이 없어집니다.
(6)그리고는 꼭 지키는것입니다.
참조로
1.모든종목에 다 적용되는 보조기표 나 기법은 없다
2.수렴 과 확장 시 모든 것에 만족할만한 보조지표 나 기법도 없다.
3.수렴 과 확장 시 모든 거래에서 수익을 낼수는 없다.
4.수렴시(횡보)시는 본전에서, 확장시는 수익으로 만들 수 있는
형태로 보조지표를 조합하고, 기법(원칙)도 적절히 조합하라.
5.진입과 청산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본봉은 하나만 보아라.
6.많은 연습을 통해 원칙은 꼭 수익을 낼수 있다는 자신을 가져라.
참조2
누구에서인가 배운게 아니라서 적절한 단어 선택을 하지 못함을
이해하시고, 건방 떤 점도 이해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