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80
  • 2해피본드130,843
  • 3supex332126,896
  • 4세제행사105,494
  • 5백억미남77,403
  • 6사무에엘69,666
  • 7배스67,344
  • 8namkinam66,211
  • 9pakdapak65,821
  • 10선물545463,830

선물자유

  • 유동성리스크란 무엇일까?

  • 비밀의정원
  • 2023-02-28 20:01:17조회수 44

유동성리스크는 거래 일방이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인해 정해진 결제시점에서 결제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거래상대방의 자금조달계획 등에 미치는 손실가능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금의 운용과 조달기간의 불일치 또는 예기치 않은 자금유출 등의 지급불능 상태나 자금의 과부족 해소를 위한 고금리 조달 및 보유자산의 불리한 매각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거래상대방이 지급 기일이 지난 이후 어느 시점에 가서 채무를 결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래상대방이 파산해 채권의 회수가 영구 불가능한 신용리스크와 차이가 있다. 총여신과 가용자금과의 연관성 분석, 현금화가 용이한 대출총액을 식별하여 별도로 관리하거나 정상적·계절적·비계절적·비상시 등으로 구분하여 가용유동성의 필요금액을 산정한 뒤에 여신을 취급하는 등의 대응방법이 있으며, 유동성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지표로 거래량대비 보유비율, 유동성자산 비율, 실질현금비율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가용유동성 확보를 위해 옵션 등에 근거한 여신한도를 대폭 줄일 경우 금융회사의 신뢰성이 손상되어 고객이탈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대출수요에 비협조적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져 평판리스크가 악화될 가능성을 주의해야 한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