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80
  • 2해피본드132,361
  • 3supex332128,109
  • 4세제행사106,563
  • 5백억미남77,683
  • 6사무에엘70,865
  • 7배스68,473
  • 8pakdapak66,993
  • 9namkinam66,211
  • 10선물545463,830

선물자유

  • 8-24 SPEEDLINE (펌)

  • 해신왕임2
  • 2023-07-06 10:05:42조회수 234

개괄

시장가격은 한 방향으로 계속 움직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시장에서 발생하는 이익실현거래와 손실중지 거래들 때문에 가격의 움직임은 등락을 반복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된 추세의 움직임과 반대로 나아가는 시장가격의 움직임을 가격의 역이동 현상이라 하는데 이러한 역이동 현상에는 가격의 되돌림(RETRACTMENT)현상과 반전(REVERSAL)현상이 있다. 만일 가격의 역이동현상이 가격의 되돌림 현상일 경우 시장의 기존의 추세를 계속 진행하겠지만 반대로 반전현상일 경우에는 기존의 추세는 무너지고 시장은 정반대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추세는 반전된다.

그래서 바로 이러한 기법은 현재의 역이동 현상이 되돌림 현상인지 반전추세로의 첫번째 기격 진동 현상인지를 판별해내는 기법이 이 속도선 즉 Speed Line이다.

이러한 가격의 되돌림 현상은 일정 비율을 두고 되돌림한다고 많이 이론가들은 주장하는데 전자에서 말한 대로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과 그 다른 많은 순환 이론가들의 비율을 보면 일치하는 점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피보나치 되돌림 비율법 참조)


해설

시장은 통상 선행움직임에 대한 특정비율로 되돌림하는데 대부분의 되돌림 현상은 기존추세의 마지막 가격이동의 특정비율까지 이루어진다. 이때 최대 되돌림 비율은 2/3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 된다. 이전의 추세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66%수준에서 조정이 마무리 되어져야 한다. 이 지점을 가격이 이탈하게 된다면 이것은 추세가 반전됐다는 신호로 인식하여야만 하며 이전 가격 진행폭의 2/3정도에 접근하는 가격의 되돌림 현상은 정상적인 되돌림 현상으로 간주되며2/3의 되돌림 현상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추세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


작성방법

이 속도선은 EDSON GOULD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추세와 되돌림 비율을 결합하여 구성된 기법으로 추세를 삼등분한다는 개념을 이용하여 추세가 상승또는 하락하는 비율 대 기간 즉, 그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강세형 속도선의 경우 현재 추세에서 가장 높은 고점이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부터 동추세가 시작한 처음점의 가격수준까지 수직선을 긋는다. 그리고 그 수직선을 삼등분하여 추세의 시작점과 수직선상의 삼등분점, 즉 1/3, 2/3으로 나뉘어지는 부분을 연결하는 선을 긋는다. 약세형 속도선의 경우를 이러한 작업을 현재 추세에서 가장 낮은 저점이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브터 시작한다. 이 기법의 특성은 어느한선이 일단 붕괴되면 그 역할을 전환한다는 것이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