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또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포착하는데 널리 활용되는 기법. 이는 주가 상승 이전의 하락선 3개를 전환 돌파하는 경우에 상승선을 그리고, 주가 하락이 이전의 상승선 3개를 전환 돌파하는 경우에 하락선을 그려 이를 각각 상승과 하락의 신호로 본다. 상승선이 그려질 때를 상승전환 또는 양전환이라 하여 매입 신호로 보고 하락선이 그려질 때를 하락전환 또는 음전환이라 하여 이를 매도 신호로 본다. 삼선전환법은 이처럼 분석 방법이 지극히 간단할 뿐 아니라, 투자자가 이 신호에 따라 행동하면 일시적인 주가 변동에 속지 않고 쉽고 분명하게 투자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이용에서는 ① 증권시장의 주변 환경 불안 등으로 단기간에 주가 등락이 반복되는 경우는 적합하지 않고 ②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한가 또는 하한가와 같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에도 부적합하며 ③ 매도 전환의 신호로써 나타난 하락선이 예상외로 크게 나타날 때는 다음의 상승전환신호가 잘 나타나지 않으며 ④ 주가상승의 최종단계에서 상승선이 크게 형성될 때는 3선 전환이 쉽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하락전환신호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삼선 전환도는 추세가 상당 기간 지속되는 경우 유용하나, 시장기조가 불안정하여 추세의 진행기간이 짧아 등락이 되풀이되고 주가변동의 폭이 크다면 그 유용성이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