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현 정부의 4차 산업혁명 로드맵 초석을 마련한 유웅환 박사가 제안하는 미래사회 전망서!
『사람을 위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생각하다』는 문재인 후보 중앙선대위 일자리위원회 본부장 겸 새로운대한민국위원회 4차산업분과 공동위원장인 유웅환 박사가 문재인 후보 중앙선대위에서 함께 고민하고 토론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과제와 비전, 그리고 일자리 창출 방향에 대한 갈무리한 것이다. 책은 이미 시작됐고, 또 맞이해야 할 4차 산업혁명에 관해 우리가 함께 답을 모색해가자는 제안을 담았다.
책의 1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그 의미를 따지고, 전 세계에서 준비되고 실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일자리에 대한 전망을 살펴본다. 이어서 2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과 문재인 후보 중앙선대위에서 고민했던 일자리 창출 방안들을 피력한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5G 네트워크 등 우리가 선도할 수 있는 집중 분야에 대한 계획은 물론, 이를 촉진하기 위하 정부의 치열한 모색과 다양한 방안들을 담아내었다. 3부에서는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현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며 우리 기업의 실태와 한계, 개선점과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융ㆍ복합이다. 다가올 세상은 단일변수로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한 가지 사실만은 분명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기술과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깊은 인간다움에 대한 사색과 인간의 욕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기술과 산업의 발견과 성장은 사람 중심의 문화 속에서 탄생한다. 제5차, 제6차, 그 다음 산업혁명이 도래하더라도 결국 그 중심엔 사람이 있다는 사실만큼은 변하지 않는 까닭이다. 갈림길에 서 있는 지금, 4차 산업혁명은 우리 경제가, 그리고 사회가 서로 연대하며 인간다움의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디딤돌이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_사람을 위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생각하며
제1부
01. 4차 산업혁명, 미래 열차는 출발했다!
02. 앞선 세 번의 산업혁명과 무엇이 다른가?
03.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 혁명이 되어야 한다
04. 독일의 인더스트리 4.0과 실리콘밸리에서 배우다
05. 경제 성장에 대한 관점을 180도 바꾸자
06. 협력과 경쟁의 코피티션 생태계
제2부
07. 숫자의 경제가 아니라 사람의 경제
08.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중점 과제
09. 정부는 추진자이자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10.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
11. 가능성이면 충분한 생태계 조성
12. 엔젤 투자의 활성화와 재교육을 통한 창업
13. 세계 경제 대전과 승자 독식 경제
14. 이정표가 목적지가 될 수는 없다!
15.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포괄 방식
16. 가파른 사선이 아니라 S자 성장을 지향하라
제3부
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십
18. 사람에게는 아낌없는 투자를
19. 정작 실리콘밸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선언은 들리지 않는다
20. 모래주머니를 차고 4차 산업혁명을 따라갈 수는 없다
21. TOP 모델
에필로그_오직 사람만이 우리의 미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