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80
  • 2해피본드131,619
  • 3supex332127,489
  • 4세제행사106,005
  • 5백억미남77,453
  • 6사무에엘70,213
  • 7배스67,944
  • 8pakdapak66,400
  • 9namkinam66,211
  • 10선물545463,830

뉴스 & 시황

  • 이억원 1차관 "4월 물가 2% 넘은 건 기저효과에 유가상승 탓"

  • 손익분기점
  • 2021-05-04 09:16:06조회수 63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202105045898i

 

630,507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지난 4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하며 지표상으로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상회했다"며 "일시적인 물가 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 안정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이날 통계청에서 발표된 물가 지표에 대한 분석을 내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3% 오르며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차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표상으로 2%를 상회한 데는 비교시점인 작년 4월 물가가 크게 낮았던 '기저효과'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특히 국제유가와 농축산물 가격이 지난해 이맘 때 크게 낮았던 점을 강조했다. 그는 "작년 이 시기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국제유가(두바이유)가 20달러대까지 급락하고, 채소 출하량 증가에 따라 농산물 가격이 하락했다"며 "지난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1%, 같은 해 5월은 -0.3%를 기록하는 등 (작년은) 물가 상승률이 이례적으로 낮은 시기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차관은 "반면 올해 4월엔 국제유가가 60달러대를 회복하고, 지난해 기록적인 장마와 겨울 한파, 조류인플루엔자 등으로 인해 주요 농축산물 가격 강세가 지속됐다"며 "(올 4월 물가 상승률은) 수요 측 요인보다는 유가와 농축산물 등 공급 측 요인의 변동성 확대가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 차관은 "4월 물가의 전월 대비 상승률 2.3% 중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의 기여도가 1.5%포인트로 전체 물가 상승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2분기에는 공급 측 요인에 기저효과가 더해지면서 물가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2%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지만, 3분기부터는 기저효과가 완화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연간 기준으로는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이 차관은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대응 방침을 설명하면서 "5월 중 계란 추가수입을 추진하고, 대파·양파의 조기출하를 독려해 가격 조기 안정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조달청이 비축 중인 구리·알루미늄·주석을 5월에도 1~3% 할인해 방출하겠다"고도 말했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