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이오스 메인넷 런칭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들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커뮤니티나 텔레그램에서 중복해서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에 대해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Q. 지금 거래소에 이오스를 보관 중인데요 제 퍼블릭키랑 프라이빗키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거래소에 보관 중인 이오스는 별도로 퍼블릭키나 프라이빗키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 커뮤니티에서 언급되는 퍼블릭키, 프라이빗키는 마이이더월렛이나 메타마스크 같은 개인 지갑으로 송금 후에
별도로 레지스터를 마친 분들에게 해당이 되는 내용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특정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이오스들은 모두가 동일한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현재로서는 해당 거래소에 관리 중일 것입니다.
(고팍스 호수에서 헤엄치고 있는 이오스 물고기A, 업비트 호수에서 잠수 중인 이오스 거북이B 이런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거래소나 토큰뱅크 같은 곳에서 일종의 위탁보관 중인 이오스들은 해당 보관소에서 투표툴을 별도로 제공해주어야만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Q. 퍼블릭키(Public key)는 뭐고, 계정이름(Account name)은 뭐죠? 둘이 다른건가요?
A. 퍼블릭키(Public key)와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는 같은 개념이지만, 퍼블릭키(Public key)와
계정이름(Account name)은 다른 개념입니다.
기존의 암호화폐들과는 달리 이오스는 최대 12자리의 영문+숫자 또는 영문조합의 사용자 고유 계정이름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입출금을 하기 위해서는0x742d35cc6634c0532925a3b844bc454e4438f44e와 같은
긴 주소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오스 블록체인에서 EOS7t3fDcbzSmSrV4WqpXDVPc5HR1uvS4DT6d4u7bo6vNcFy3pUC1 과
같은 긴 주소(Public key=Public address)와 동시에 계정이름(Account nam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 은행계좌에 핸드폰 번호나 별도의 닉네임을 설정해서, 긴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대신해서 송금을 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랜덤으로 부여받은 계정이름이 있지만, 별도로 본인이 원하는 계정이름을 신청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Q. EOS.io에서 레지스터를 할 때는 퍼블릭키(Public key)와 프라이빗키(Private key) 정보 밖에 없었는데
계정이름(Account name)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https://eospia.com/ 으로 접속하셔서 본인의 EOS Public key를 입력하시거나, EOS토큰을 보관 중이었던 이더리움
지갑(마이이더월렛, 메타마스크 등) 주소를 입력한 뒤에 FIND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EOS ACCOUNT NAME이라고 나오는 12자리의 영문+숫자조합의 문장이 본인의 계정이름입니다.
(숫자없이 영문으로만 조합된 12자리 문장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윈도우에서 새폴더 만들기를 누르면
"종다리", "까마귀", "까치"와 같은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되는 것처럼 이오스 메인넷 위에 12자리 계정이름이 무작위로
생성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Q. Staked, Refunding, Balance의 개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스테이크(Staked)는 자원을 할당하고 투표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펀드(Refunding)은 스테이크를 해제하는 언스테이크(Unstaking)가 진행 중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크 해제 후 3일(72시간)이 소요됩니다. 마지막으로 잔고(Balance)는 애초부터 스테이크가 되지 않았거나
언스테이크 후 3일(72시간)이 지난 이오스 토큰을 의미합니다.
잔고(Balance)로 나타나는 이오스 토큰은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Q. 언스테이크(Unstaking)를 하면 단점이 있나요?
A.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단점은 없습니다.
Q. 스캐터(Scatter)를 사용해서 거래소 지갑으로 이오스를 보낼 수 있나요?
A. 스캐터는(Scatter)는 신원인증 프로그램입니다.
말 그대로 특정 사이트에 별도로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를 입력할 필요 없이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많은 분들이 메타마스크와 유사한 것으로 오해를 하시는데, 지갑 역할을 하는 메타마스크와는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Q. 그러면 이오스 개인지갑은 무엇을 사용해야 하나요?
A. 그레이매스(greymass)에서 개발한 EOS-voter에 지갑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까지는 지갑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아직까지는 별도로 이오스 입출금 기능을 하는 지갑이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Q. 이오스 개인지갑 출시나 입출금 지원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A. 아직까지 입출금 기능이 지원되는 별도의 이오스 지갑서비스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지금으로서는 스테이크(및 투표참여), 언스테이크, 계정 생성 정도의 활동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추후 이오스 BP나 DApp에서 지갑이 출시되는 경우 커뮤니티에서 안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으로써는 확실한 날짜를 알기 어렵지만 곧 빠른 시일 내에 출시가 되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D
Q. 이오스 지갑서비스가 시작되면 바로 거래소로 이동시켜서 현금화가 가능한가요?
A. 이오스 지갑서비스가 시작되어 입출금이 가능해진다고 하더라도, 거래소로 송금하기 전에 먼저 거래소에서
이오스 입출금 지원여부에 대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오스 입출금과 지원과 관련해서는 각 거래소에서 추후 별도의 공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공지 확인 이후에
송금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Q. 현재 이오스 입출금을 지원해주는 거래소가 어디인가요?
A.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이오스 입출금 지원여부에 대해 공식적으로 발표한 거래소가 없습니다.
메인넷은 정식으로 런칭되었지만 이오스 입출금과 관련해서는 거래소마다 지원 여부 및 시기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거래소의 공지사항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Q. 메타마스크(또는 마이이더월렛)에 있는 EOS를 거래소나 다른 지갑으로 옮길 수 있나요?
A. 현재 메타마스크나 마이이더월렛에 있는 EOS 토큰은 동결된 토큰입니다.
그냥 망부석이되어 굳어버린 돌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거래소나 다른 지갑으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Q. 그럼 지금 제 EOS는 없어진건가요? 어디에 있는 건가요?
A. 없어진 것이 아닙니다. 메타마스크나 마이이더월렛에 보관하고 EOS.io에서 레지스터를 완료하신 경우에는
제네시스 스냅샷 이전에 보관 중이었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EOS 토큰이 EOS 메인체인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수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방문해야 하는 곳의 주소가 퍼블릭키(Public key) 또는 계정이름(Account nam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