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옵션 미결재약정 허와 실
선물옵션 매결재약정은 특정 매매일의 매매종료 시점에서 아직 청산되지 아니한 선물옵션 매수 혹은 매도계약의 합을 말한다. 즉 선물옵션 미청산 계약수를 말한다. 보통 공식적인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은 선물옵션 거래일보다 하루 늦게 발표되기 때문에 분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그날 선물옵션 추정치나 전일의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을 사용한다. 선물옵션 미결재 약정은 위의 빨색 부분이 핵심이다. 선물옵션 평균 미결제약정에 비해 현재의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이 어느 정도 변했느냐 하는 부분이 중요하다. 위의 차트는 과거 선물옵션 12월물 거래되고 있는 것을 차트 샘플로 사용했다. 선물옵션 거래일이 적고 여러가지 상황을 보기위하여 부득이하게 3분봉을 사용했다.
첫번째로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의 민감도를 약간 줄이기 위하여 이동균하여 위의 선물옵션 차트에서 보여 주고 있다.선물옵션 차트상 MA(미결제약정,기가) 날카로운 톱날이 없어지고 전반적인 선물옵션 지수 추세를 보여 주고 있다. 다만 신호가 약간씩 늦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은 선물옵션 지수의 등락과 함께 증감을 하는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선물옵션 지수 등락과 관계없이 이제까지 체결된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을 우선적으로 청산하려는 선물옵션 투자자들이 나타난다. 새로운 신뢰성있는 선물옵션 정보를 미리 알았거나 개인적으로 선물옵션 시장 상황을 판단을 하였거나 구분할 필요는 없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이 선물옵션 지수와 반대 바량의 움직이는 모습을 아래의 선물옵션 차트에서 확인해보자.
선물옵션 횡보장에서 부터 선물옵션 청산하기 시작해서 선물옵션 지수 상승하는데도 계속 청산하는 모습을 위의 선물옵션 차트에서 볼 수 있다. 정리를 해보면 첫번째로 선물옵션 지수 상승하면서 선물옵션 미결제약정도 상승하면 상승 미결제약정이라고한다. 두번째로 선물옵션 지수가 하락하면서 선물옵션 미결제약정도 하락하면 하락 미결제약정이라고한다. 세번째로 선물옵션 지수와 반대로 방향으로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이 발생하면 다이버전스라고 한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과 선물옵션 지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때는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의 신호에 따라 매매를 하면 좋다. 하지만 다이버전스가 발생될 때는 선물옵션 지수와 미결제약정 관계과 갑자기 흩어지게 된다. 다이버전스가 발생되는 지점을 위의 선물옵션 차트에서 확인해보자 ,선물옵션 지수와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의 이동평군선의 방향성이 달라지는 겨우가 발생되는 구간을 위의 차트에 찾아본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과 선물옵션 지수 이동평규선 지표이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의 지표에서 선물옵션 지수 이동평균선이 반대 방햐으로 진행하는 구간을 표시하여 본다.
위의 선물옵션 차트 상에서 파란 부분은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과 선물옵션 지수가 동향하는 구간이고 빨간 부분은 반대 방향인 경우 이다.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이 이평위에 표시한 반대향의 빨간색이 차지하는 부분이 너무 많고 불규칙하다. 이것이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으로 선물옵션 지수의 변화를 예측하는것은 신뢰도가 낮다는 의미이다.
위의 선물옵션 차트는 선물옵션 미결제 약정과 선물옵션 베이시스를 합한 차트이다. 파란색이 선물옵션 미결제약정의 다이버전스가 발생한 구간이고 빨간색이 선물옵션 베이시스이다. 두선이 교차 구간을 살펴보면 선물옵션 미결제약정과 선물옵션 베이시스와 상관간계과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선물옵션 미결제약정만을 기준으로 선물옵션 지수 방향을 예측하것은 신뢰도가 낮고 선물옵션 베이시스만으로 선물옵션 지수를 예측하는것은 안되는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