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7,201
  • 3supex332124,388
  • 4세제행사102,828
  • 5백억미남75,836
  • 6사무에엘67,161
  • 7namkinam66,211
  • 8배스64,752
  • 9선물545463,830
  • 10pakdapak63,388

Hot Issue

  • 주간 한국 증시 전망

  • 똥고집매수
  • 2019-07-29 17:07:20조회수 343

1. 지난 주 주식시장 동향

 

국내 증시는 반도체 업종 중심의 외국인 매수세 유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경제지표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으로 매물 출회. 주 초반, 골드만삭스에서 나온 반도체 산업 보고서에서 메모리 과잉재고 이슈가 예상보다 일찍 해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주목을 받으면서 외국인 중심으로 매수세가 두드러짐. 또한 7월 30~31일 베이징에서 미-중 무역협상이 재개된다는 긍정적인 소식도 전해짐.

하지만 -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 유입은 제한적이었음. 이유는 한국의 20일까지의 수출입 지표와 미국, 유로존 PMI 지표 부진이 이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약화되었기 때문. 더불어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관망 속에 거래대금이 급격히 위축된 점도 부담. 이 현상으로 외국인의 선물 동향에 휘둘리는 웩더독 현상이 주 후반 발생한 점도 영향. 한편,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속에 낙폭이 확대되며 마감. 이에 코스피는 28.10pt 하락한 2,066.26pt, 코스닥은 29.47pt 하락한 644.59pt에 마감.


업종별로 보면 전기·가스와 전기·전자가 상승한 반면, 종이·목재, 비금속광물, 통신 업종이 하락을 주도.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중심으로 8,067억원 순매수, 기관은 반대로 전기·전자를 중심으로 5,370억원 순매도. 주체별로는 투신과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순매도한 점이 특징.

 

 

 


2. 이번 주 주식시장 전망

 

한국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 및 FOMC 결과에 따라 변화가 예상됨. FOMC에서 미 연준은 25bp의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그러나 시장 참여자들은 이보다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에 주목할 것으로 판단. 예상과 같이 지속적인 금리인하를 언급한다고 해도, 시장은 차익 매물 출회 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시장에는 중립 이하의 요인이라고 보임. 한편, 예상과 달리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대해 ‘지켜보고 하겠다.’는 스탠스를 취한다면 큰 폭의 조정도 배제할 수 없음.

 

또한 합의 가능성도 크진 않으나 미-중 무역협상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특히 중국의 베이다이어 회동이 미-중 무역협상 이전에 있었다는 보도가 나오다면 이번 협상에서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 물론 시기와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회동이 개최되었다는 여부만 나와도 이번 협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수 있음. 이를 감안하면 한국 증시는 주 초반 반등이 예상되나, FOMC 이후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코스피는 2.000~2,100pt, 코스닥은 620~660pt 전망.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