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은 좀 잘 못해도 벗이다.
벗은 좀 잘 못해도 벗이다.
몽골 징키스칸(1162~1227)은
매사냥을 즐기고
어깨에 앉아 있는 매를항상
친구로 생각 하였다고 한다.
어느 날 바위 위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마시려는데
매가 종재기를 엎질렀다.
몹씨 목이 마른데 물을
마실려고 하면 매가 계속 엎질렀다.
일국의 칸(Khan, 지배자)이며,
부하들도 다 지켜 보고 있는데
물을 먹으려고만 하면
매가 계속해서 엎질러 버리니
매우 화가 났다.
'한 번만 더 그러면 죽여 버리리라.
'마음을 먹었는데 또 엎지르자
결국 칼로 매를 베어 죽였다.
그리고 일어나서 바위 위로 올라가
물 속을 보니
물 속에 맹독사가
내장이 터져 죽어 있는 것이 아닌가?
결국 그 물을 먹었더라면
즉사 할 수도 있었을 것인데,
매는 그것을 알고 물을 엎어 버렸던 것이다.
그는 친구(=매)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고,
매를 가지고 돌아와 금으로 동상을 만들고
한 쪽 날개에 "분개하여
판단하면 반드시 패하리라."
또 다른 날개에는
"좀 잘 못한 일이 있더라도 벗은 벗이다."
라고 새겨 넣었다고 한다.
혹시 사소한 오해로
친구들과 불편하게 지내지는 않는지?...
아무 것도 아닌 일로 화를 내어
나중에 후회한 적은 없었는지?...
모든 일에는 그럴만한 사정이 다 있다.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은
모든 사람으로부터 배우는 사람이며,
가장 사랑 받는 사람은
모든 사람을 칭찬하는 사람이며,
가장 강한 사람은
자기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다.
힘들고 지칠 때
나의 매가 될 사람이
누구인가를 기억해 보아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