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량에 대한 일정 시점의 변동을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작성하는 주목적은 생산, 출하, 재고의 상관성을 분석평가하고 경기변동의 후행계열인 생산자제품재고 상황을 파악하여 경기분석자료로 요약하는 데 있다. 생산자제품재고지수는 산업생산지수나 생산자 출하지수와는 달리 광업과 제조업을 대상으로 일정 시점의 재고수준을 나타내는 스톡(stock) 지표이다. 경기의 좋고 나쁨에 따라 재고과부족 현상이 나타나는데 재고를 비축하거나 처분하는 과정에서 생산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재고수준의 변동은 단기적인 경기순환을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