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8,312
  • 3supex332125,138
  • 4세제행사103,549
  • 5백억미남76,618
  • 6사무에엘67,967
  • 7namkinam66,211
  • 8배스65,543
  • 9pakdapak64,176
  • 10선물545463,830

선물자유

  • 자사주소각이란 무엇일까?

  • 비밀의정원
  • 2023-02-06 16:26:00조회수 26

주식회사가 합병 등을 통해 자기주식을 취득할 경우 자사주 취득 금지 규정에 따라 이를 소각하는 것을 말한다. 자사주의 취득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나 소각의 경우는 별도로 인정되고 있다. 자사주 소각은 상호 출자한 2개의 기업이 합병하거나 특정 기업이 주식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의 물량을 줄여 주주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이뤄진다. 상법 제343조에 따르면, 주식은 자본감소에 관한 규정에 의해서만 소각할 수 있지만, 정관이 정한 바에 의해 주주에게 배당할 이익으로써 소각할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각은 분류방법에 따라 감자규정에 따른 것과 정관규정에 따라 배당해야 할 이익으로 행하는 것, 무상소각과 유상소각, 강제소각과 임의소각으로 분류된다. 유상소각은 주주에게 대가를 지불하는 것으로 주주와의 매매계약에 따라 매입소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강제소각은 개별주주의 의사에 관계없이 회사가 일방적으로 강행하는 것으로 주주에게 보상을 지불한다 하더라도 주주평등의 원칙을 지키기 위하여 추첨이나 지분비례방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소각으로 인하여 발행필주식의 소멸이 생기나 회사가 발행할 주식총수(수권자본)의 감소가 당연히 생기는 것은 아니다. 자본감소의 절차에 의한 경우에는 자본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나 이익에 의한 소각의 경우에는 자본의 감소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대체로 자사주를 소각하면 전체 유통 주식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1주당 가치가 높아지게 되고 주가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을 매입하여 소각하기 때문에 대주주지분율이 상승하게 되어 대주주의 소유 구조가 안정된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자사주 소각이 주가관리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정착되어있다. 세계최대의 시가 총액을 자랑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사는 8년 동안 12차례에 걸친 주식분할과 8차례에 걸친 자사주 소각을 단행하면서 주가를 관리해왔다. MS사는 자사주 소각을 위해 그동안 수백억 달러를 투입했지만 주당가치의 증가와 이에 따른 주가상승으로 투입한 자금의 몇 배에 해당하는 자산가치의 증대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자사주 소각이 내부 유보의 감소 등 부정적 결과만을 극대화하거나 기업 관계자의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 거래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사주 매입 소각제도가 주가관리와 주주가치의 증대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배당률 인상 등 기업측의 주주중시 경영철학이 고루 균형 있게 추진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증권시장에서의 합리적인 가격 결정 메커니즘이 작동되어야 하는 등 기업과 투자자의 의식 및 관행이 성숙되어야 한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