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80
  • 2해피본드131,758
  • 3supex332127,605
  • 4세제행사106,158
  • 5백억미남77,546
  • 6사무에엘70,326
  • 7배스68,039
  • 8pakdapak66,493
  • 9namkinam66,211
  • 10선물545463,830

선물자유

  • [책 추천] 당신의 직업이 사라진다

  • 랭킹선물월드
  • 2023-10-23 23:25:45조회수 15

책 소개

사람이 아니라 로봇과 경쟁해야 하는 시대! 당신은 사라질 것인가, 살아남을 것인가!


《직업의 미래》 보고서는 인공지능의 발달, 기계화로 인해 2015~2020년에 사무 · 행정 직군에서 화이트칼라 일자리 약 475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러한 현상들을 두고 서구에서는 미래의 일자리를 대비하라는 경고의 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화이트칼라들은 업무에 치여 자신이 처한 현실을 돌아볼 틈이 없다.


이 책 『당신의 직업이 사라진다』는 AT&T 밸 연구소, 패니메이, 월드뱅크 등 세계적인 기업에서 일해온 재미교포 데이비드 서와, 세계 50위 이내의 경영 대가들을 인터뷰해온 거시경영연구소 소장 이선이 한국의 화이트칼라에게 경종을 올리고, 한국형 대안을 다각도로 조명한 책이다. 무엇이 수 세기 동안 지속 가능할 것 같았던 관료주의를 소멸시키는지 살펴보고, 생존을 위해 필요한 사유거리를 모색한다.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드론 : 기술력 차이가 몰고 온 살상의 역사 주술과 과학의 차이

죽음을 과학으로 극복하려는 사람들 ㅣ 인간의 파괴 본성 ㅣ 사망 선고를 배달하는 드론 ㅣ 문명의 차이가 낳은 비극 ㅣ 신이 되고 싶은 사람들 ㅣ 탐구 정신으로 포장된 자본의 움직임 ㅣ 완전한 로봇 시대를 우려하는 사람들 ㅣ 화이트칼라의 숲을 찾아온 역사학자 ㅣ 두뇌에 난시가 걸린 사람들 ㅣ 평생직장 개념은 이미 무너진 지 오래 ㅣ 수시로 고장을 일으키는 낡은 엔진, 자본주의


Chapter 2 인공지능 : 기술 변화에 대해 의문을 품지 못할 때 일어날 일들

케인스가 예언한 유토피아는 오지 않았다 ㅣ 기술은 실직자로 몰린 근로자의 안위를 고민하지 않는다 ㅣ 광속과 같은 기술 혁신, 그것을 추격하기 힘든 화이트칼라 ㅣ 냉장고 같은 메인프레임 컴퓨터에서 퍼스널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ㅣ 스티브 잡스와 이나모리 가즈오가 정의한 최악의 직원 ㅣ 인식의 범위를 최소 화성까지 넓히자 ㅣ 6차원을 생각하는 사람들 ㅣ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신화가 탄생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 ㅣ 없어질 직업을 두고 경쟁하는 학생들 ㅣ 정보의 접근에도 신자유주의가 만연하다 ㅣ 인공지능 시대에 두뇌 기능이 점차 소멸하는 사람들 ㅣ 인류 구원을 고민할 때다 ㅣ 분주하기만 해서는 성과를 낼 수 없다


Chapter 3 환경 파괴 : 대량 생산의 종말

런타이둬(人太多, 사람이 너무 많아)! ㅣ 진보의 어두운 이면 ㅣ 탐욕이 기술과 결합할 때 ㅣ 세계 절반의 부를 가진 사람들이 지구를 버린다면? ㅣ 인공지능보다 온난화, 자원 고갈을 걱정하라 ㅣ 공무원 열망 사회 ㅣ 질문하는 것이 생존력이다 ㅣ 인공지능 시대에 암기 교육만 시키는 사람들 ㅣ 정형화된 화이트칼라에게 요구되는 창의적인 기업가 정신 ㅣ 진정 내 것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ㅣ 변하지 않는 것이 더 위험한 시대 ㅣ 어른 아이를 탄생시키는 재벌 공화국


Chapter 4 자본충성주의 : 멸사봉공의 한계, 넷세대의 등장

돈으로 살 수 없는 1이닝 ㅣ 시장주의 사고의 한계 ㅣ 다양성의 소멸 ㅣ 한국식 관료제의 한계 ㅣ 멸사봉공을 외치는 기업의 위험성 ㅣ 돈으로도 살 수 없는 팀워크 ㅣ 12WHY 기법 ㅣ 넷세대: 기성세대의 일자리를 앗아가는 청년 기업가들 ㅣ 익숙한 길을 무심코 걷다 보면 ㅣ 기업의 혁신 속도를 이해하지 못하는 한국 교육 ㅣ 이미 사망한 앨빈 토플러가 한국에는 살아 있는 이유


Chapter 5 대안

생존을 위해 필요한 여덟 가지 행동 강령 ㅣ 정보 탐색을 통해 기술 트렌드를 이해하기 ㅣ 시간과 물질을 전략적으로 써야 할 때다 ㅣ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에필로그: 1

에필로그: 2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