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603000110
중국 중앙정부가 가상자산 채굴 금지령을 내린 이후 지방정부도 단속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채굴업자의 탈중국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정부의 단속 하에 본토에서 운영되는 벌어지는 가상자산 채굴 현장이 결국에 모두 폐쇄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3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전날 쓰촨성 에너지 규제당국은 가상자산 채굴 실태를 조사하는 좌담회를 열었다. 이날 좌담회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쓰촨성 내 가상자산 채굴 현황에 대한 심도있는 보고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 국가에너지자원국 쓰촨성 지부는 “중앙 차원의 요청에 따라 쓰촨성 내 가상자산 채굴 관련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기 위해 좌담회를 열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쓰촨성은 신장위구르자치구와 함께 중국 내에서 가상자산 채굴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지역으로 꼽힌다. 풍부한 수자원 덕분에 값 싼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좌담회는 사실상 쓰촨성 당국이 가상자산 채굴 현황 파악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설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글로벌타임스는 “중앙 정부가 비트코인 채굴과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지방자체단체가 관련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쓰촨성 관리도 채굴업자에 대한 더 많은 조치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지난달 21일 중국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는 류허 부총재 주재 회의에서 가상자산 채굴과 거래 행위에 대한 강력한 단속 의지를 밝혔다.
이에 같은 달 25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는 가상자산 채굴 행위를 전면 금지하는 이른바 ‘암호화폐 채굴 행위 타격을 위한 8대 조치’ 초안을 발표했다. 규제안에는 가상자산 채굴업자 만이 아니라 땅을 빌려주거나 전기를 제공하는 등 해당 행위에 연루된 이들을 모두 처벌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참여 개인과 기업을 ‘신용 불량 명단’에 올리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전문가는 장기적으로는 중국에서 가상자산 채굴 행위 자체가 사라질 수 있다고 추측했다. 중앙 정부가 명시적으로 채굴장을 모두 폐쇄해야 한다고 밝히지는 않았으나, 이미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중국 내 채굴 행위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디지털르네상스재단의 상무이자 비트코인 투자자인 카오인은 “많은 채굴업자들이 중국 정부의 강경 입장을 감지하고 캐나다 등 (채굴에) 우호적인 국가로 이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