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6,349
  • 3supex332123,803
  • 4세제행사102,259
  • 5백억미남75,330
  • 6사무에엘66,586
  • 7namkinam66,211
  • 8배스64,206
  • 9선물545463,830
  • 10pakdapak62,795

코인정보

  • IT기업, 블록체인 용어 기피…‘블록체인 세탁’ 이유는

  • 캡틴아메리카
  • 2018-11-08 13:01:39조회수 340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를 기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포레스터 리서치는 ‘분산원장 기술에 대한 2019 예측’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업들 사이에서 ‘블록체인’이라는 용어 대신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이라는 용어가 더 주목 받는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러한 현상은 ‘블록체인 세탁(blockchain washing)’이라고 표현했다.

 

그간 업계에서 블록체인이라는 단어가 과장되고, 기존 서비스를 윤색하는 데 쓰이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블록체인 세탁이 등장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블록체인이 암호화폐와 연결되는 개념으로 거론되면서 ‘황야의 무법자(wild west)’라는 뉘앙스를 풍긴다는 우려도 블록체인 세탁의 이유로 지목됐다.

 

한편, 포레스터 리서치는 블록체인 혹한기 속에서 새로운 시장이 개척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DLT가 안정적인 수익원이 되지 못 하고, 2019년에도 사정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블록체인 혹한기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은 앞으로 암호화폐 없이 자산을 토큰화하는 시장에서 주로 쓰일 것이라는 예측이 뒤따랐다. 부동산 같은 기존 자산을 기반으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플랫폼 하버(Harbor)를 예로 들 수 있다.

 

포레스터 리서치의 마르샤 베넷 애널리스트는 “기존 인터넷 시장에선 아마존이나 이베이 같은 단일 기업이 큰 변화를 가져왔다”면서도 “블록체인 산업은 생태계를 바탕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한 회사가 ‘무언가 하겠다’고 말하던 방식과 다를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출처 :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0307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