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잇는 ‘3세대 블록체인’ 이오스(EOS)의 메인넷이 출범했다. 지난 10일부터 메인넷 운영을 맡는 블록프로듀서(BP)를 뽑는 선거가 치러졌고 15일 선출된 21개 BP가 이오스 블록을 생성하기 시작했다.
이오스는 이전의 블록체인과 어떻게 다를까?
커뮤니티(공동체)의 힘을 강조하는 점이 가장 눈에 띈다. 커뮤니티 전체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노력한 뒤 보상을 받는 게 기본 구동 시스템이다. 토큰 보유자들이 플랫폼을 구축한 뒤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수 있도록 했다. 제로섬이 아닌 플러스섬으로의 전환 추구로 이해된다.
물론 이오스가 정교하게 설계되지 않았다면 어떠한 가치를 내세워도 통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오스는 실용적이고 매력적이다. 거래 수수료가 없고 0.5초마다 블록이 생성돼 다양한 파생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으로 거래 검증 과정, 즉 블록 생성 속도를 높였다. 기존 블록체인은 전체 노드에 원장을 분산해 전체 원장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위·변조를 차단하는 대신 속도가 느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