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가영 기자] 국내 기업들이 2017년 말부터 암호화폐 거래소와 인수합병(M&A)을 진행하려 했지만 암호화폐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M&A 추진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거래소는 인수자를 찾아나서고 있다.
한 M&A 중개 업체 관계자는 “2017년 3분기부터 작년 1분기까지 대기업을 포함한 여러 상장기업이 암호화폐 거래소 M&A에 대해 문의했다”며 “그러나 당시 거래소들이 터무니없는 가격을 제시해 성사되지 않았고, 작년 중순부터는 거래소와의 M&A 관련 문의가 단 한 건도 없었다”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가격 급락과 함께 거래량이 줄어들자 거래소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 빠르게 식었다는 설명이다.
◆ 암호화폐 거래 급등 시절 M&A 추진 늘었지만, 높은 거래소 콧대에 ‘불발’
암호화폐 시장의 ‘전성기’라고 불릴 만큼 거래량이 많았던 2017년, 여러 국내 기업들이 암호화폐 거래소와 M&A를 시도했지만 불발됐다. 매수측과 거래소가 자체 평가한 기업 가치 평가액의 차이가 컸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거래소 측에서는 10% 미만의 지분에 대해서도 최하 수십억에서 백억 이상을 요구했다. 거래소가 자체 평가한 기업 가치는 거품이 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시장 상황이 좋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도 거래소를 인수할 의향이 있다고 밝인 곳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 국내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2017년 당시 4곳에서 M&A 제안을 받았지만, 거래소 기업 가치가 2000억까지 올랐기 때문에 그보다 적은 액수로 M&A를 할 필요가 없었다”라며 “그러나 작년부터 시장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M&A 제의가 뚝 끊겼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도 “거래량이 많았을 당시에는 시장이 계속 좋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M&A 제안이 많이 들어왔지만, 당시에는 회사 운영 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 거절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