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7,058
  • 3supex332124,270
  • 4세제행사102,735
  • 5백억미남75,744
  • 6사무에엘67,065
  • 7namkinam66,211
  • 8배스64,649
  • 9선물545463,830
  • 10pakdapak63,304

Hot Issue

  • 아마존의 중앙화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통할까?

  • 코인골리앗
  • 2018-12-20 10:02:28조회수 344

 

세계 최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달말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분산 원장 플랫폼과 하이퍼렛저와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원하는 매니지드 서비스를 앞세워 블록체인 플랫폼 시장 공략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자체 분산 원장은 OLDB(Amazon Quantum Ledger Database)고, 매니지드 서비스 브랜드는 아마존 매니지드 블록체인이다. 두 솔루션 모두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니라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에 초점이 맞춰졌다.

 

18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 보도를 보면 AWS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전략은 투트랙으로 나눠 진행되는 것 같다. 같은 엔터프라이즈라도 OLDB와 아마존 매니지드 블록체인의 타깃 고객층이 다르다는 얘기다. QLDB은 중앙화된 방식의 분산 원장 플랫폼이다. 중앙에 신뢰하는 주체가 있는 상황에서 분산 원장이 운영되는 구조다. 다시 말해 노드들간 합의 메커니즘 없이 돌아가기 때문에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인 탈중앙성과 충돌하는 측면도 있다. 레딧과 같은 커뮤니티에선 이와 관련한 논쟁도 벌어지는 모양이다. 코인데스크는 블록체인의 가장 큰 미덕은 중앙화된 권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건데, QLDB는 중앙에서 통제하는 지점이 있기 때문에 신뢰할만 하지 않다"는 한 레딧 사용자의 발언을 전했다.

 

이에 대해 AWS는 "OLDB에서 개발하는 고객들은 ASW가  현재와 과거 데이터 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정확하게 자신들의 SQL 구문(스테이트먼트, Statement)을 실행한다고 신뢰할 것이다"고 답했다.

 

일단 저널(Journal: 변경 불가능한 거래 로그를 의미) 거래가 공개되면 AWS라도 해도 아무도 모르게 데이터를 바꿀 수 없다는 것이었다. AWS가 변경을 시도하려 하면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출처 :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14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