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7,703
  • 3supex332124,702
  • 4세제행사103,138
  • 5백억미남76,221
  • 6사무에엘67,502
  • 7namkinam66,211
  • 8배스65,108
  • 9선물545463,830
  • 10pakdapak63,760

Hot Issue

  • 지브릭의 자체 합의알고리즘에 대해

  • 졸부되자
  • 2019-01-15 15:21:31조회수 689

 

 

안녕하세요, 요즘 한창 주목받고 있는 지브릭(Gbrick)의 블록체인 시스템에 대해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지브릭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플랫폼입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라인과 같은 SNS를 통해 형성된 사용자들의 관계망을 통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게임을 공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구축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게임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 지브릭은 생태계 내에서 자신이 만들어낸 모든 가치에 대해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먼저 지브릭의 프로세스를 살펴보겠습니다. 지브릭 생태계는 정성과 신뢰성, 신속성을 보장하는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구축된 것이 특징입니다. 게임 제공자, 사용자, 플랫폼이 생태계에 참여하게 됩니다. 사용자가 지브릭코인(GBX)을 구매하여 게임에 참여하면 사용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발생하고, 게임의 승패에 따라서 코인의 재분배가 이뤄지게 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멀티 스마트 컨트랙트 구조'로 설계되어 다양한 결과에 따라 코인 재분배가 가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브릭의 블록체인 플랫폼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브릭 플랫폼은 다양한 dApp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검증된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빠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 합의 알고리즘인 LLFC를 개발했습니다. LLFC는 지분 위임 증명 방식(DPOS)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DPOS의 문제점을 보완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LLFC의 대표 노드는 물리적인 주소에 권한 없이 부여되는 것이 아닌, 지브릭의 논리적인 주소에 부여됩니다. 이 주소는 코인정보 (GBX) 거래를 포함하여 DPOS의 대표 노드로써 권한을 행사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노드와 분리되어 관리되어 결과적으로 신뢰를 형성하고 전체적인 네트워크 속도를 향상하게 됩니다.

 

 

 

 

 

이처럼 지브릭은 ICO를 진행하지 않고도 R&D를 통해서 메인넷 개발을 완료해 큰 주목을 받았으며 현재도 dApp 생태계 발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브릭 코인을 개발한 스마트코어는 최근 말레이시아와 MOU를 체결하고 메신저 개발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스마트 코어는 과거에도 카카오페이 포스, SK텔레콤 T가드, KT 영상통화 IOS, 현대 엘레베이터 HERTS 시스템 개발 등 많은 연혁을 갖고 있습니다. 홍콩,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등 지브릭 플랫폼 내에서 구현될 게임을 발굴하고 런칭 계획을 앞두고 있다고 하니, 세계적인 컨텐츠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