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일 관세 폭탄 예고 속 9일 담판
글로벌경제 노심초사…확전 땐 한국에도 중대 타격
기술탈취 금지법·기존관세 존치·이행강제장치 등 난제
미국과 중국이 글로벌 경제를 옥죄는 무역 전쟁의 행로를 놓고 담판에 들어간다.
세계 경제 1, 2위 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장관급 대표단은 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한다.
중국 상무부는 중국 협상단을 이끄는 류허 중국 부총리가 9일과 10일, 이틀 동안 워싱턴에 머문다고 밝혔다.
미국 협상단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이 이끈다.
초미의 관심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폭격이 실제 집행될지 여부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 속도에 불만을 나타내며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올리겠다고 경고했다.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관세인상 시점이 미국 동부시간으로 오는 10일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이라고 밝혔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8일 관보 사이트에 2천억 달러(약 234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오는 10일부터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하겠다는 내용을 공지했다.
므누신 장관은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제 궤도에 복귀한다면 추가관세 계획을 재고할 수 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결국 류 부총리가 워싱턴으로 가지고 가는 협상안에 관세 폭탄의 폭발 여부가 달린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류 부총리의 협상안에 만족하지 않으면 관세율은 자동으로 인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