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역발상이란 무엇인가?
1. 마음의 상태
; ?닐은 “역발상의 기술”에서 역발상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다음같이 설명하고 있다.
"질문의 양면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리고 실제로 대다수에게 한 면을 보는 것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어려운 일이겠지만, 양면을 볼 수 있도록 마음을 단련해 극소수가 되고 나면 분명 훌륭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결코 사소한 노력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사실 대부분이 다른 사람에게서 정보나 의견을 얻는다. 그리고 그마저도 허투루 읽거나, 흘려듣곤 한다."
2. 자신과의 싸움
; ?진정한 역발상 투자자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시장이 옳다는 사실을 이해한다. 역발상이 되어야 하는 때와 장소가 따로 있다. 닐은 이렇게 설명한다.
"‘군중’은 가장 옳아야 할 순간에 항상 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금 부드럽게 얘기하자면, 군중은 추세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평균적으로 옳게 행동하지만, 추세가 끝날 무렵에는 틀리게 행동한다. 때문에 군중과 반대로 행동하는 것이 쉽게 수익을 낼 수 있는 간단한 공식이라는 생각이 나오게 된다."
3. 모든 훌륭한 투자자는 역발상 투자자다.
?모든 훌륭한 투자자는 역발상 투자자이며, 훌륭한 투자자기 되기 위해서는 역발상 투자를 해야 한다. 그 이유는 시장이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가격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닐은 도움 되는 설명을 한다.
많은 경제학자들의 예측이 틀리는 이유는 분석이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그들의 예측이 시장에 영향을 미쳐서일 수도 있다. 그들의 예측이 기업(그리고 대중)의 경영과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고, 따라서 시장이 바뀌면서 예측이 틀린 것일 수 있다. 만일 경제학자들이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게 되면, 기업들은 경기 침체가 예상될 경우와는 다르게 재고와 부채 관리에 나설 것이다. 하지만 여러 경제학자가 같은 예측을 내놓고, 그에 따라 대중이 집단적으로 행동하게 되면, 진자의 추를 너무 한 방향으로 멀리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경제학자들이 내놓은 예측의 “타이밍”과 모멘텀이 틀어지게 만든다. 이렇게 경제학자들의 공개된 예측은 틀리게 되는 반면, 예측을 자기 머릿속에만 넣어 놓게 되면 이례적일 정도로 정확하게 맞아떨어질지도 모른다.
4. 결론
?요약하자면, 역발상은 성격상의 특성이 아니라, 마음의 상태이다. 투자자들은 열린 마음을 갖고, 가능한 한 모든 결과를 더 넓게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황이 바뀔 경우, 대응하기가 훨씬 더 쉬워진다. 역발상이란 핵심 이슈가 발생하거나, 중요한 순간에 군중과 다른 선택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고,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이 상식이고, 때문에 위험 관리는 필수적이다. 또한 역발상은 근본적으로 인내심과 관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