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A 메인넷, BTC.com 등 3개 채굴풀과 연결...BTC와 채굴 연동
엘라토스(ELA, 시총 86위) 익스플로러에 따르면, 대형 채굴풀 BTC.com, ViaBTC, BTC.TOP 3곳이 현재 엘라토스 메인넷의 ELA AUXPoW 합의 알고리즘에 참여한다. 이를 위해 ELA 메인 체인과 비트메인 산하 BTC.com이 손잡고 AUXPoW 공동 채굴 기능을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ELA는 공동 채굴 알고리즘 시스템으로 신뢰도를 확보하며, 비트코인 채굴자는 추가 수수료 없이 ELA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 美 나스닥 상장사, 5,000만 달러 펀드 조성...블록체인 ID 기업 투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클라우드 기반 ID 관리 플랫폼 옥타(Okta)가 5,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했다고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펀드의 첫 투자 업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솔루션 제공업체 트러스티드 키(Trusted Key)다. 한편 옥타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IT 기업의 61%가 블록체인에 투자하고 있다.
) 크립토피아, "해킹 복구 작업 대부분 완료"
지난 1월 해킹 사건이 발생한 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457개의 토큰을 새로운 프라이빗 키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미 50% 정도가 완료된 상태"라며 "이용자들은 이중요소인증(2FA), API 키, 패스워드 등을 업데이트하고 미체결 주문은 취소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또한 크립토피아는 "지난 1월 해킹 사건 당시 해커가 취득한 3만 789 ETH가 익명의 지갑으로 이체된 정황을 파악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크립토피아는 1월 해킹 이후 이용자가 자신의 암호화폐 보유 상태를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 스웨덴 거래소 NGM, XRP·LTC 추종 ETP 출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스웨덴 거래소 NGM(Nordic Growth Market)가 최근 리플(XRP, 시총 3위)과 라이트코인(LTC, 시총 5위)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상품(ETP) 서비스를 개시했다. 발행사는 XBT Provider로, 주요 서비스 대상은 유럽 투자자다. 한편 NGM은 독일 2대 증권거래소인 보어슈투트가르트(Börse Stuttgart)의 100% 자회사다.
) 印 BTC 사기범, 인도 최고법원에 보석금 신청...보석금 1억 달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에 따르면, 인도 폰지사기범 아밋 바드와즈(Amit Bhardwaj)가 예전부터 신부전증을 앓고 있어 지난 3월 27일 최고법원은 바드와즈의 보석 신청에 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고법원은 보석금을 1억 달러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아미트 바르드와지(Amit Bhardwaj) 등은 비트코인 관련회사인 '게인비트코인'을 통해 8,000명의 투자자를 상대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폰지 사기를 벌인 바 있다.
) 토큰애널리스트 "고래의 일시적인 시장 진입, BTC 상승의 도화선"
미국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암호화폐 연구기관 토큰애널리스트(TokenAnalyst)가 최근 BTC의 가격이 5,000달러까지 상승한 요인에 대해 "소위 '고래'라고 하는 BTC 거대 투자자들이 동시에 시장에 뛰어들면서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등했다"며 "고래의 움직임이 수천수만개의 소규모 계좌 거래의 도화선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토큰애널리스트 설립자 시드 셰카르(Sid Shekhar)는 "최근 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한 결과, 몇몇 대형 고래의 자금이 여러개의 거래소로 일시에 이체됐다"며 "한 고래의 외부 계좌에서 비트멕스(BitMex) 거래소 계좌로 이체되어 체결된 한 거래는 75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비록 고래의 움직임이 BTC의 급등의 모든 요인은 아니지만 첫번째 도미노였다고 볼 수 있다"며 "고래들은 지난 몇달간 비트코인을 매집했고, 충분한 물량을 매집한 후 바이낸스와 비트멕스 등 거래소로 이체를 시켰다"고 덧붙였다.
) XMR 수석 개발자 "XMR, 증권이 될 수 없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모네로(XMR, 시가총액 14위) 수석 개발자 히카르도 스파그니(Riccardo Spagni)가 "XMR은 증권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증권은 발행자가 먼저 일부 토큰이나 상품을 발행한 후 판매를 진행해야 한다"며 "XMR은 사전 판매를 진행하지 않았다. BTC와 같이 공급은 채굴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덧붙였다.
) 외신 "헛 에이트, 대규모 구조조정 감행"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gh)가 캐나다 공영방송 CBC를 인용 "글로벌 암호화폐 채굴 업체 헛 에이트 마이닝(Hut 8 Mining) 그룹이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헛 에이트의 캐나다 드럼헬러(Drumheller) 채굴장에서 일을 하던 전(前) 직원이 CBC에게 "지난 1월 나를 포함한 24명의 동료들이 해고됐다"며 "당시 헛 에이트는 전체 직원의 약 25%가량을 해고했다"고 제보했다. 이와 관련해 CBC는 "이번 구조조정은 지난해 하락장과 해당 지역의 전기비 상승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인원 감축이 데이터 센터 운영 인력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다"고 전했다.
) SFOX 시장 지수, 암호화폐 시장 '강보합' 주기 진입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기관 전문 암호화폐 거래소 SFOX가 3월 전세계 주요 거래소 암호화폐 가격 및 거래량, 변동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암호화폐 시장이 ‘강보합’ 주기에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해당 거래소는 6개 주요 코인 글로벌 시세를 분석했으며, 해당 코인은 BTC, BCH, ETH, LTC, BSV, ETC다.
) VET, 스위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수설 부인
비체인(VET, 시가총액 24위) 써니 루(Sunny Lu) CE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스위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앰브로서스(Ambrosus) 인수설을 부인했다. 그는 “비체인은 앰브로서스의 지분을 인수한 바 없으며 인수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앞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는 업계 소식통을 인용, 비체인이 앰브로서스를 인수하고 해당 부서 명칭을 '비체인 GmbH'로 변경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