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이 탄생 10주년을 맞았다. 하지만 암호 화폐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규제 장벽 등으로 인해 블록체인을 둘러싼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인 상황이다.
이에 블록체인이 암호 화폐를 넘어, ‘창의적인 협력을 위한 도구’로 새롭게 자리 잡아야 할 때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이하 KIET)의 보고서 ‘블록체인의 혁신사례와 발전 방향’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암호 화폐를 가능하게 했던 ‘분산원장’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암호 화폐와는 별도로 기존 산업 영역에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KIET의 박유미 연구원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 화폐는 가격이 오르내리는 투기의 대상 또는 검은돈의 세탁 수단으로 지목받아오며 부정적인 인식을 형성해왔다. 하지만 블록체인에 대한 기대치가 하향하고 있다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은 ▲정보의 비대칭 ▲거래 비용 ▲인센티브 부족과 같이 협력을 방해하는 요인을 자동 제거해주기 때문에, 여러 주체가 참여하는 산업 활동에서 큰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박 연구원은 “구매자는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이 구매 대상의 가치에 합당한가에 대해 의심을 품게 되는데 이는 정보의 비대칭 때문”이라며 “이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변경 불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지난 생산·사용 이력을 구매자에게 제공한다면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는 더욱 쉬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신뢰가 없는 대상과의 거래를 위해 신뢰를 담보해 줄 수많은 중개인을 중간에 끼움에 따라 거래로 발생하는 가치의 많은 부분이 중개인 비용으로 지급돼 왔지만, ‘신뢰의 기술’이라 일컬어지는 블록체인은 이와 같은 ‘거래 비용’의 축소를 이끌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인센티브 부족에 대해 “블록체인에서는 참여자의 네트워크에 대한 기여도가 투명하게 공개되며 이에 따라 코인이나 토큰으로 보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협력으로 발생한 좋은 결과가 자신의 기여도만큼 보상으로 돌아오지 않을 때 동기를 잃게 되는 문제도 해결해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불어 블록체인은 산업 내 협력 증진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문제까지 해결할 것으로 주목된다.
“블록체인으로 사회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하다”라고 말한 박 연구원은 “인증과 사실을 쉽게 해주고, 중복된 자원 투자를 피하게 해주며 데이터 주권 문제도 해결해준다.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의 사용가치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공개된 데이터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독려해주기도 한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블록체인은 이제까지 해결하지 못한 많은 문제를 해결해주지만, 만능은 아니다”라며 “정부 주도의 지속적인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기획과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탄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