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분기점401,980
해피본드134,269
supex332129,400
세제행사107,897
백억미남78,280
사무에엘72,199
배스69,873
pakdapak68,330
namkinam66,211
고수다의고수64,204
리스크제로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대상인 반도체·디스플레이 3개 소재 확보와 관련해 “다소나마 숨통을 틔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일본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다음날인 지난 13일 디바이스·솔루션(DS) 및 디스플레이 부문 사장단 회의를 소집해 이같이 밝히고 사장단에 컨틴전시플랜(비상경영계획) 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전날 사장단 회의에서 일본 출장 결과를 사장단과 공유하고 경영진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급 현황과 사업 영향,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발 빠른 대응으로 수출규제에 포함된 포토레지스트,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소재의 조달과 관련해 급한 불은 끈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 부회장이 일본 소재 기업의 해외공장 등을 통해 일부 재고를 확보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재계에서는 일본 정부의 완강한 입장을 고려할 때 현지 재계 원로들로부터 사태악화를 막기 위한 협조 등에 긍정적 답변을 얻는 정도의 성과일 가능성에 더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이 부회장은 회의를 통해 “단기 현황 대처에만 급급하지 말고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의 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며 “특히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 흔들리지 않고 시장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마련을 지시했다”며 “일본 방문 직후 사장단 회의를 소집할 만큼 심각한 위기임을 강조한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