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많이 사용되는 mac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cd는 moving average concergence divergence 의 약자로 단순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지표입니다.
macd는 후행성 지표인 이동평균선을 사용하여 수렴과 확장을 표시하므로,
후행성을 띌 수 밖에 없지만, 다이버전스나 시그널 지표와의 교차 등을 통해 그 후행성을 어느정도 극복할수 있습니다.
macd가 구해지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macd = 단기지수이동평균 - 장기지수이동평균
이제 macd를 활용한 매매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차트는 해외선물 크루드오일의 일봉 차트입니다.
MACD를 활용한 매매기법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시그널 교차 매매, 0선 기준 돌파 매매, 다이버전스 매매 세가지를 들수 있는데요.
동그라미 표시한 부분이 시그널 교차 매매입니다.
해당 시그널은 macd 지표의 이평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빨간색 원형 표기처럼 macd선이 signal 선을 상향 돌파시 매수 사인으로 보시면 되고,
파란색 원형 표기처럼 macd 선이 signal 선을 하향 돌파시 매도 사인으로 보시면 됩니다.
둘째로 0 기준선 매매법으로 macd의 중심선은 0 선입니다.
네모에 표기된 바와 같이 macd 선이 0 라인 상향 돌파시 매수,
하향 돌파시 매도로 보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다이버전스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다이버전스란 주가와 모멘텀 지표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다이버전스는 추세변환의 신호로 보시면 됩니다.
100문의 말보다 쉽게 정리된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위 차트에서 붉은색으로 연결된 선을 보시면 주가는 새로운 파동으로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지만,
macd 신호는 전고점을 갱신하며, 일치하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상승 국면에서 발생한 다이버전스로 이후 주가는 하방의 추세로 변환됩니다.
반대로 푸른색 선으로 연결된 선을 보시면, 주가는 새 파동으로 저점을 갱신하지만,
macd는 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지 못한 상태에서 반등이 나오게 됩니다.
이처럼 하락추세 국면에서의 다이버전스 신호는 상승추세로의 변환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macd의 정의와 매매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내것으로 만들자구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