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8일 (화) 주요뉴스
미국 美) 11월 소비자신용지수(현지시간)
미국 美) 12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미국 美) 1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미국 美) 11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현지시간)
독일 독일) 11월 산업생산(현지시간)
일본 日) 12월 소비자신뢰지수
영국 영국) 12월 할리팩스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유로존 유로존) 12월 경기체감지수(현지시간)
기타 CES 2019(현지시간)
기타 삼성전자 4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기타 제이스테판 추가상장(유상증자)
기타 11월 국제수지(잠정)
기타 LG전자 4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기타 코레일, 설 연휴 승차권 예매
기타 KB국민은행 노조 총파업 예정
기타 한국특수형강 추가상장(유상증자)
기타 경남제약, 상폐여부 결정 예정
기타 국무회의(인터넷전문은행법, 자본시장법)
기타 산업부,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토론회 개최
기타 18년 24차 금통위 의사록 공개
기타 엠벤처투자 변경상장(무상감자)
기타 삼원테크 보호예수 해제
기타 씨앤지하이테크 권리락(무상증자)
기타 버추얼텍 보호예수 해제
기타 와이지-원 보호예수 해제
기타 수성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삼보모터스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컨버즈 추가상장(CB전환)
기타 KMH 추가상장(CB전환)
기타 핸디소프트 추가상장(CB전환)
기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에이프로젠 KIC 추가상장(BW행사 및 CB전환)
1월7일(현지시간) 미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차관급 무역 협상이 이틀간의 일정으로 개최된 가운데, 이에 따른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했습니다. 지난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비둘기파적 발언 효과도 지속되는 모습이네요.
다우 +98.19(+0.42%) 23,531.35, 나스닥 +84.61(+1.26%) 6,823.47, S&P500 2,549.69(+0.70%), 필라델피아반도체 1,166.24(+1.95%)
미국과 중국의 차관급 무역협상이 이날부터 이틀간의 일정으로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습니다. 관세 및 비관세 항목으로 나눠 진행중인 무역협상에 류 허 중국 국무원 경제 담당 부총리가 참석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 현지 언론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는 美/中 협상단이 이번 협상을 통해 무역 쟁점에 대한 밑그림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주 파월 Fed 의장의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 발언 효과가 지속된 점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 4일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서 "Fed는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지켜보면서 인내심을 가질 것이라며, 경제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빠르고 유연하게 변경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고, 보유자산 축소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만약 문제가 된다면 정책변경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날 국제유가가 사우디 대규모 원유 수출 감축 기대감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는데,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56달러(+1.17%) 상승한 48.52달러에 거래 마감했습니다.
다만, 美 연방정부 셧다운 리스크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상승폭은 다소 제한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美 연방정부의 셧다운 장기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8일 오후 9시(미 동부시간) 국경 보안과 관련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의회는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한 표결을 15일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표결에서 합의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금융시장에 혼란을 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네요.
이날 발표된 비제조업(서비스업) 지표는 부진한 모습이었습니다. 전미공급관리자협회(ISM)는 지난해 12월 비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 60.7에서 57.6으로 하락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