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포인트랭킹

  • 1손익분기점401,970
  • 2해피본드126,503
  • 3supex332123,917
  • 4세제행사102,350
  • 5백억미남75,432
  • 6사무에엘66,682
  • 7namkinam66,211
  • 8배스64,254
  • 9선물545463,830
  • 10pakdapak62,908

선물자유

  • 선물옵션 - 06월 14일(금) 주요 뉴스

  • 파생대마왕
  • 2019-06-14 09:05:42조회수 418

선물옵션 - 06월 14일(금) 주요 뉴스

 

미국 4월 기업재고(현지시간)   
미국 5월 소매판매(현지시간)   
미국 5월 산업생산(현지시간)   
미국 6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현지시간)   
미국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일본 4월 산업생산(수정치)   
영국 마크 카니 영란은행(BOE) 총재 연설(현지시간)   
유로존 4월 무역수지(현지시간)   
중국 5월 고정자산투자   
중국 5월 산업생산   
중국 5월 소매판매   
기타 코스닥150·코스피200 정기변경   
기타 르노 삼성 노사, 잠정 합의안 투표 예정   
기타 5월 수출입물가지수   
기타 삼성전자 갤럭시 A50 출시 예정   
기타 거래소, 고배당 3대 지수 정기변경   
기타 LG전자, LG X6 출시 예정   
기타 THE E&M 추가상장(유상증자)   
기타 폴루스바이오팜 보호예수 해제   
기타 2019 아세안 위크   
기타 최종구 금융위원장, 5대 금융지주 회장과 조찬 회동   
기타 넵튠 보호예수 해제   
기타 1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   
기타 머큐리 보호예수 해제   
기타 에이씨티 보호예수 해제   
기타 현진소재 보호예수 해제   
기타 케이비스팩18호 공모청약   
기타 신영스팩5호 공모청약   
기타 IBKS제9호스팩 거래재개   
기타 에이아이비트 추가상장(CB전환)   
기타 가온미디어 추가상장(BW행사)   
기타 소리바다 추가상장(CB전환)   
기타 티앤알바이오팹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에스티큐브 추가상장(CB전환)   
기타 다산네트웍스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오늘의 프로야구   
기타 케이엠더블유 추가상장(CB전환)   
기타 테크윙 추가상장(CB전환)

 

6월 13일 미국증시는 중동에서 발생한 유조선 피격 소식에 국제유가가 상승하며 에너지주가 강세를 보인데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다우 +101.94(+0.39%) 26,106.77, 나스닥 +44.41(+0.57%) 7,837.13, S&P500 2,891.64(+0.41%), 필라델피아반도체 1,392.94(+0.58%)

 

중동 유조선 피격에 따라 국제 유가가 상승했으며, 이에 에너지주가 강세를 보인 점이 증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중동 호르무즈 해협 인근 오만해에서 석유제품을 실은 대형 유조선 2척이 피격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에 전일 4.00% 급락했던 유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14달러(+2.23%) 상승한 52.28달러에 거래 마감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으로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5월 수입물가는 0.3% 하락했으며, 시장 전망치에는 부합했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첫 하락을 기록했네요.

 

지난 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22만2,000건으로 전주 대비 3,000건 늘어났으며 시장 전망치보다 부진했으며 이러한 경제 지표 부진에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입니다. 한편, 월가에서는 다음 주 예방적인 차원에서 금리를 내릴 수도 있다고 전망했으며, 7월과 9월, 12월등 연내 세 차례 각각 25bp(0.25%)의 금리인하를 전망했습니다.

 

한편, 美/中 무역전쟁 우려는 지속되는 모습으로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과 관련한 구체적인 조치를 가까운 시일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전기차 모델3에 들어가는 중국산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면제해달라는 테슬라의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0 / 1000byte
댓글보기 (0개)

댓글 수정
  • 0 / 1000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