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분기점401,980
해피본드133,758
supex332129,085
세제행사107,553
백억미남78,221
사무에엘71,857
배스69,532
pakdapak67,956
namkinam66,211
고수다의고수63,955
설악산호랭이
해커들이 상용 SW취약점을 찾아 제보하고 수익과 명성을 얻는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이 블록체인의 취약성을 찾는 데도 활용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기술 사이트 더넥스트웹(TheNextWeb)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올 한해 화이트해커들이 버그바운티로 87만8,000달러(약 9억7,800만)를 벌어들였다고 보도했다.
버그바운티란 소프트웨어의 버그 및 취약점을 발견한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버그바운티는 이미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에서 제품 보안 고도화를 위해 도입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오스(EOS) 개발사인 블록원에서는 버그바운티 플랫폼인 해커원에 53만4,500달러를 제공했다. 블록원은 이번 해 수여된 모든 포상금의 60%를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올 한해 29만381달러를 지출했으며, 트론은 7만6,200달러를 소비했다.
해커원 관계자는 “플랫폼에서 수여되는 모든 포상금의 거의 4%가 블록체인 취약성에 대한 것”이라며 “블록체인 업계 평균 상금은 올해 1,490달러, 2018년 4분기 해커원 포상금은 약 900달러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