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옵션 - 10월 14일(월) 주요뉴스
유로존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중국 9월 무역수지
일본 증시 휴장
기타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사전통지일
기타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 자급제 모델 판매 재시작 예정
기타 상반기중 결제통화별 수출입(잠정)
기타 엔에스 추가상장(무상증자)
기타 미국 콜럼버스데이(현지시간)
기타 매매사업자·법인 LTV 40% 규제
기타 일본 해상자위대, 관함식 개최 예정
기타 제주항공, 제주기점 국내선 운임 인상
기타 녹십자웰빙 신규상장 예정
기타 여야 원내대표 회동
기타 교보스팩9호 공모청약
기타 엔바이오니아 공모청약
기타 제넥신 추가상장(주식전환)
기타 심텍홀딩스 추가상장(주식전환)
기타 에코마이스터 추가상장(CB전환)
기타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10월11일 미증시는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협정 체결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다우 +319.92(+1.21%) 26,816.59, 나스닥 +106.26(+1.34%) 8,057.04, S&P500 2,970.27(+1.09%), 필라델피아반도체 1,591.13(+2.27%)
미중간 무역협정 합의 소식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류허 중국 부총리를 면담한 이후 양국이 '상당한 1단계 무역협정' 타결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에 지식재산권 문제와 금융서비스 문제 등이 포함됐고 중국이 400억~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을 사들이기로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진전이 있었으며, 기술 강제 이전 문제 등도 논의했고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미국은 다음 주 예정됐던 중국산 제품 2,500억 달러 규모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보류하였고, 중국과의 협정은 2단계 혹은 3단계로 진행될 것이며, 1단계 협정의 문서화와 이에 대한 서명 이후 2단계 협정을 위한 협상이 곧바로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선물회사에 대한 외국계 소유 제한을 내년 1월 1일을 기해 폐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뮤추얼펀드 회사와 증권회사에 대해서도 외국계 소유 제한을 각각 내년 4월 1일, 12월 1일 단계적으로 없앨 예정입니다.
연방준비제도(Fed)가 600억 달러를 투입해 국채를 사들이는 등 본격적인 자산 매입에 나선다고 발표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Fed는 오는 15일부터 한달 간 600억 달러의 재정증권을 사들이는 것을 중심으로 한 대차대조표 확대 방안을 발표했으며, 내년 2분기까지 재정증권 매입을 지속한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브렉시트 관련 긍정적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유럽연합 대변인은 이날 스티븐 바클레이 영국 브렉시트부 장관과 미셸 바르니에 EU 브렉시트 협상 수석대표 회동에 대해 "협상은 건설적이었으며, 의지가 있다면 길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도 양호한 모습입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9월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0.2% 상승하면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며, 10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는 96.0을 기록해 전월 확정치와 시장 예상치를 모두 웃돌았습니다.
국제유가는 이란 유조선 피격 등에 2% 넘게 상승했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15달러(+2.15%) 상승한 54.70달러에 거래 마감했습니다.